맨위로가기

When Dream and Day Unit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hen Dream and Day Unite는 1989년 발매된 미국의 프로그레시브 메탈 밴드 드림 시어터의 데뷔 앨범이다. 1985년 마제스티라는 이름으로 결성된 밴드는 보컬리스트 찰리 도미니치를 영입하고 밴드명을 드림 시어터로 변경한 후 앨범을 발매했다. 앨범 발매 15주년을 기념하여 로스앤젤레스에서 공연이 열렸으며, 앨범 수록곡과 함께 Images and Words 앨범의 Metropolis Pt.1: The Miracle and The Sleeper, To Live Forever의 라이브 버전이 연주되었다. 이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에 진입하지 못했지만, 이후 앨범들의 성공으로 재조명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데뷔 음반 - Cuts Both Ways
    글로리아 에스테판의 1989년 솔로 앨범 "Cuts Both Ways"는 미국 빌보드 200 차트 10위권 진입과 영국, 호주 1위, 그리고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곡 "Don't Wanna Lose You"를 탄생시키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89년 데뷔 음반 - Southside (텍사스의 음반)
    Southside는 1989년에 발매된 텍사스의 데뷔 음반으로, 영국 앨범 차트 3위에 올랐으며, 영화 《파리, 텍사스》의 포스터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되었다.
  • 드림 시어터의 음반 - 5 Years in a LIVEtime
    드림 시어터의 라이브 비디오 앨범인 5 Years in a LIVEtime은 Burning My Soul, Cover My Eyes, Lie를 포함한 다양한 곡들의 라이브 공연 실황을 담고 있으며, 스톰 소거슨이 앨범 커버 디자인을 맡았다.
  • 드림 시어터의 음반 -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는 드림 시어터가 1992년 앨범 발매 후 월드 투어 중 일본 도쿄 공연 실황을 담아 1993년에 발매한 라이브 앨범으로, 팬들의 열렬한 환대에 감동받아 발매를 결정했으며 대표곡 라이브 버전과 투어 에피소드를 담아 평론가와 팬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 1989년 음반 - One (비지스의 음반)
    비지스의 1989년 앨범 《One》은 유럽에서 성공한 《E.S.P.》 이후 제작되었고 앤디 깁 사망 후 그에게 헌정되었으며, 우울한 분위기 속에서 "Wish You Were Here"라는 곡으로 그를 기리고 있다.
  • 1989년 음반 - Oh Mercy
    밥 딜런의 26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Oh Mercy는 다니엘 라노이스의 프로듀싱으로 딜런이 작곡하고 뉴올리언스에서 녹음하여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딜런의 컴백 앨범으로 여겨진 앨범이다.
When Dream and Day Unite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When Dream and Day Unite 음반 커버
When Dream and Day Unite 음반 커버
음반 정보
이름When Dream and Day Unite
종류스튜디오 앨범
아티스트드림 시어터
발매일1989년 3월 6일 (미국)
발매일 (일본)1989년 4월 10일
녹음1988년 7월 18일 - 8월 12일, 펜실베이니아주 글래드윈 Kajem/Victory Studios
장르헤비 메탈, 프로그레시브 메탈
길이51분 25초
레이블Mechanic
프로듀서테리 데이트, 드림 시어터, 스티브 싱클레어
기타 정보
이전 음반The Majesty Demos
이전 음반 발매년도1986년
다음 음반Images and Words
다음 음반 발매년도1992년

2. 역사

드림 시어터는 1985년 버클리 음대 출신의 존 명(베이스), 마이크 포트노이(드럼), 존 페트루치(기타)가 러시의 곡 "바스티유 데이"에서 영감을 받아 Majesty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다.[1] 이들은 페트루치의 어린 시절 친구인 케빈 무어를 키보디스트로, 크리스 콜린스를 보컬리스트로 영입했다.

1985년과 1986년 사이에 ''The Majesty Demos''를 녹음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 밴드가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위협하면서 밴드 이름을 바꿔야 했다.[1] 뉴욕 등지에서 공연을 하던 중 콜린스가 밴드를 떠났고, 이후 여러 보컬을 거쳐 찰리 도미니시를 영입했다.[1] 밴드 이름을 고민하던 중, 포트노이의 아버지가 근처 영화관 이름인 '드림 시어터'를 제안했고, 이들은 이 이름을 받아들였다.[1]

데모 앨범에 대한 뜨거운 반응과는 달리, 데뷔 앨범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2] Mechanic/MCA는 밴드와의 계약을 해지했고, 밴드는 뉴욕의 작은 클럽을 전전했다.[2] 밴드 내 갈등과 음악적 차이로 인해 도미니치가 해고되었고,[4] 1990년 말까지 리드 싱어 없이 활동했다.

드림 시어터의 공식 부트레그 전문 레이블 "YtseJam Records"에서는 이 앨범의 데모 음원을 수록한 앨범 『When Dream and Day Unite Demos 1987-1989』와 재현 라이브를 수록한 앨범 『When Dream and Day Reunite』를 판매하고 있다.

3. 앨범 제작

1988년 중반, 밴드는 펜실베이니아주 글래드와인의 Kajem/Victory Studios에서 3주 동안 앨범을 녹음했다. 이 스튜디오는 퀸스라이크의 ''Operation: Mindcrime'' 녹음으로 유명했다.[1] 프로모션 싱글 "Status Seeker"와 "Afterlife"의 리믹스 및 라디오 편집은 러시 프로덕션으로 유명한 테리 브라운이 담당했다.[2][3]

4. 15주년 기념 공연

''When Dream and Day Unite'' 앨범 발매 15주년을 기념하여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앨범 전체를 연주하는 공연이 열렸다. 앵콜 공연에는 특별 게스트로 전 멤버였던 찰리 도미니시와 데렉 쉐레니언이 참여했다. 원년 키보디스트 케빈 무어는 불참했다.

이 공연 실황은 잇시잼 레코드를 통해 ''When Dream and Day Reunite''라는 이름으로 CD와 DVD로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는 ''Images and Words'' 앨범의 Metropolis Pt.1: The Miracle and The Sleeper와 B-Side 트랙인 To Live Forever의 라이브 버전도 포함되어 있다. 이 두 곡은 ''When Dream and Day Unite'' 발매 직후에 작곡되어 앨범 투어에서 라이브로 연주되었다.[1]

5. 평가

''When Dream and Day Unite''는 발매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후속 앨범인 ''Images and Words''의 성공으로 재조명되었다. Metal Observer는 앨범의 창의성과 비전을 칭찬했다. 올뮤직과 Sputnikmusic은 멜로디 라인을 칭찬했지만, 작곡 능력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7] 헤비 메탈 수집가 가이드는 "놀라울 정도로 프로그레시브하면서도 매우 헤비하고 폭발적인 프로그 메탈"이라고 평가했으나, 프로듀싱과 키보드, 드럼 사운드를 비판했다.[8]

''콜로라도 스프링스 가제트-텔레그래프''는 이 음악이 "의도는 좋지만, 너무 과장되어 청취자는 어떤 특이한 박자나 템포 변화가 다음에 어둠 속에서 튀어나올지 짐작하게 만든다."라고 평가했다.[9]

올뮤직의 로버트 테일러는 밴드의 "프로그레시브 메탈" 음악에서 퀸스라이크의 영향이 분명히 드러난다고 언급했으며, 페트루치포트노이를 "유능한 뮤지션"으로 규정했지만, 그들의 "개별적인 스타일은 아직 다듬어지지 않았다"고 평했다. 그는 "수준 이하의 보컬, 너무 많은 메탈 클리셰, 형편없는 프로듀싱"을 비판했지만, 앨범이 "이 장르의 팬들이 들어볼 만한 충분히 흥미로운 연주"를 담고 있다고 덧붙였다.[7]

이 앨범은 드림 시어터 앨범 중 유일하게 빌보드 200 차트에 진입하지 못한 앨범이다.[10]

6. 곡 목록

When Dream and Day Unite Demos 1987-1989와 When Dream and Day Reunite는 드림 시어터의 공식 부트레그 전문 레이블 "YtseJam Records"에서 발매한 앨범으로, 전자는 이 음반의 데모 음원을, 후자는 재현 라이브를 수록하고 있다.[1]

6. 1. 정규 트랙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A Fortune in Lies존 페트루치드림 시어터5:12
Status Seeker찰리 도미니시, 존 페트루치드림 시어터4:15
The Ytse Jam(기악곡)존 페트루치, 존 명, 케빈 무어, 마이크 포트노이5:43
The Killing Hand존 페트루치드림 시어터8:40
Light Fuse and Get Away케빈 무어드림 시어터7:23
Afterlife찰리 도미니시드림 시어터5:27
The Ones Who Help to Set the Sun존 페트루치드림 시어터8:04
Only a Matter of Time케빈 무어드림 시어터6:35


6. 2. 데모 및 라이브 앨범 (YtseJam Records)

When Dream and Day Unite Demos 1987-1989와 When Dream and Day Reunite는 드림 시어터의 공식 부트레그 전문 레이블 "YtseJam Records"에서 발매한 앨범이다. 전자는 이 음반의 데모 음원을, 후자는 재현 라이브를 수록하고 있다.[1]

7. 참여 멤버

7. 1. When Dream and Day Unite

드림 시어터는 1985년 버클리 음대 학생이었던 존 명(베이스), 마이크 포트노이(드럼), 존 페트루치(기타)가 러시의 "바스티유 데이"에서 이름을 따 Majesty라는 이름으로 결성했다. 이후 페트루치의 친구 케빈 무어가 키보드로, 크리스 콜린스가 보컬로 합류했다.

1985년과 1986년 사이에 ''The Majesty Demos''를 녹음했지만, 동명의 다른 밴드로부터 법적 소송 위협을 받으면서 밴드 이름을 바꿔야 했다. 뉴욕 등지에서 공연을 하던 중 콜린스가 밴드를 떠났고, 여러 보컬을 거쳐 찰리 도미니치가 합류했다. 밴드 이름을 고민하던 중, 포트노이의 아버지가 근처 영화관 이름을 따 드림 시어터로 할 것을 제안하여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데모 앨범의 좋은 반응으로 데뷔 앨범에 대한 기대가 컸으나, 실제로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Mechanic/MCA는 밴드와의 계약을 끊었고, 밴드는 뉴욕의 작은 클럽 투어만 진행했다. 그들은 프로모션 싱글 "Status Seeker"와 "Afterlife"를 제작했고, 테리 브라운이 리믹스와 라디오용 싱글 편집을 담당했다.[2][3] 밴드 내 갈등과 음악적 차이로 도미니치는 해고되었고, 1990년 말까지 리드 싱어 없이 활동했다.[4]

'''멤버'''

7. 2. 15주년 기념 공연 추가 멤버

데렉 쉐레니언이 키보드 연주자로 참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ike Portnoy Shares Opinion on Dream Theater's 1st Album, Recalls How Original Keyboardist Kevin Moore Left the Band https://www.ultimate[...] 2020-06-14
[2] 간행물 Status Seeker Mechanic Records
[3] 간행물 Afterlife Mechanic Records
[4] 웹사이트 Dream Theater - When Dream and Day Unite review http://www.mikeportn[...] Mike Portnoy.com 2017-01-25
[5] 웹사이트 Dream Theater Tourography: When Dream and Tour Unite 10/14/1989 Bay Shore, Long Island, N.Y., USA http://mikeportnoy.c[...] Mike Portnoy.com 2016-02-28
[6] 웹사이트 Dream Theater Tourography: When Dream and Tour Unite 11/14/1989 New York City, N.Y., USA http://mikeportnoy.c[...] Mike Portnoy.com 2016-02-28
[7] 웹사이트 Dream Theater - When Dream and Day Unite review http://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7-01-25
[8] 서적 The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Volume 2: The Eighties Collector's Guide Publishing 2005-11-01
[9] 뉴스 Odd tempo changes ruin album by Dream Theater 1989-05-05
[10] 웹사이트 Artist Chart History - Dream Theater > Albums "{{BillboardURLbyNam[...] Nielsen Business Media 2016-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